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는 1971년 4월 27일에 치러졌으며, 박정희 후보와 김대중 후보가 주요 경쟁을 벌였다. 박정희는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53.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김대중은 신민당 후보로 45.3%를 득표했다. 이번 선거는 지역주의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박정희 정부의 개발 정책으로 인한 지역 간 표심 차이도 나타났다. 또한, 야당의 약진과 3선 개헌 이후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개헌 시도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4월 - 1971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71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이스라엘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한 대회이다. - 1971년 4월 - 제43회 아카데미상
제43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1971년 2월 23일에 열렸으며, 영화 《패튼 대전차 군단》이 작품상 등을 포함해 7개 부문을 수상했고, 릴리언 기시, 오손 웰즈 등에게 공로상이 수여되었다.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민주공화당 후보 선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민주공화당 후보 선출은 1971년 민주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제7대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 추대하고, 통일과 경제 발전을 약속한 사건이다.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유권자들은 높은 투표율을 보였으며, 김대중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고, 이는 지역주의와 개발 격차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김대중 - 5·17 쿠데타
5·17 쿠데타는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 이후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국회를 해산하여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 김대중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어 최초의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IMF 외환 위기 속에서 전두환·노태우 사면 논란, 병역 비리 의혹, 비자금 의혹 등 여러 논란과 후보 단일화, 지역주의 투표 양상을 보였다.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 |
---|---|
지도 정보 | |
![]() | |
선거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선거 유형 | 대통령 |
이전 선거 | 196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67년 |
다음 선거 | 197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72년 |
선거일 | 1971년 4월 27일 |
투표율 | 79.8% ( 3.8%p) |
후보 정보 | |
후보 1 | 박정희 |
![]() | |
후보 1 정당 | 민주공화당 |
후보 1 득표수 | 6,342,828 |
후보 1 득표율 | 53.20% |
후보 2 | 김대중 |
![]() | |
후보 2 정당 | 신민당 |
후보 2 득표수 | 5,395,900 |
후보 2 득표율 | 45.26% |
선거 결과 | |
당선자 | 박정희 |
당선 정당 | 민주공화당 |
이전 대통령 | |
이전 대통령 | 박정희 |
이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선거 이후 | |
이후 대통령 | 박정희 |
이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2. 후보
1969년 3선 개헌으로 헌법을 개정한 후 치러진 이 선거는 여당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와 야당 신민당의 김대중 후보 간의 대결로 압축되었다.
김대중은 향토예비군 폐지[5], 노사공동위원회 창설, 비정치적 남북 교류, 4대국 보장안, 3단계 통일안 등 혁신적인 공약을 내걸고 박정희의 안보론과 경제 성장의 허구성을 정면으로 공격하며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 이에 맞선 박정희는 “(대통령 선거 출마는)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강조하며 선거전을 치렀다.
국민당은 박기출 전 의원을, 정의당은 진복기 총재, 자민당은 이종윤 총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였다.[9] 그러나 이들은 당의 공천 절차를 제대로 밟았는지 확인되지 않아 후보 등록 과정에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이종윤 후보의 경우, 일부 당 간부들이 공천 서류가 허위 조작되었다고 주장하며 무효를 주장했다.[10]
대중당은 서민호 의원을, 통일사회당은 김철 부당수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대중당은 후보가 수락을 거부하였고, 통일사회당은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통한당과 민족민주당은 각각 오재영 전 의원과 김응조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으나 등록 요건을 갖추지 못해 출마하지 못했다.
자민당, 정의당, 통한당은 대선 이후 법정 지구당 수 및 법정 당원 수 미달로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2. 1.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은 1971년 3월 17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박정희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3]원래 헌법에는 대통령의 임기를 두 번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박정희는 1971년 선거에 출마할 자격이 없었다. 그러나 1967년 재선 직후, 민주공화당이 장악한 국회는 현직 대통령이 3선에 출마할 수 있도록 헌법을 개정하였다. (3선 개헌)[3]
2. 2. 신민당
신민당은 1970년 9월 29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대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김대중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4]당초 유진오 전 고려대학교 총장, 유진산 현 당 대표, 윤보선 전 대통령 중 한 명이 후보로 나설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969년 11월 8일 40대 초반의 김영삼 의원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이러한 관례는 깨졌다. 이후 김대중, 이철승 의원도 출마를 선언했다. 당 지도부는 처음에는 이들의 출마를 만류했으나, 결국 새로운 세대가 당을 이끌 때가 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유진산 당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가 김영삼을 지지한다고 발표한 후, 이철승은 출마를 철회하고 김대중을 지지했다.
1970년 9월 29일 열린 전당대회에서 김대중은 당 지도부의 지지를 받은 김영삼을 꺾고 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4] 경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3. 군소 후보
국민당은 1971년 3월 22일 윤보선 총재의 결정에 따라 박기출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였다.[9] 정의당 진복기 총재, 자민당 이종윤 총재도 출마했으나, 이들은 당의 제대로 된 공천 절차를 밟았는지조차 확인되지 않아 당 지명 경위 확인 서류를 받는 규정의 미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9] 이종윤 자민당 후보의 경우 일부 당 간부들이 공천 서류는 허위로 조작되었으며 후보 등록은 무효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10]대중당은 1971년 3월 4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서민호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후보가 수락을 거부하여 결국 후보를 내지 못하였다. 통일사회당은 1970년 12월 1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김철 부당수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으나, 1971년 4월 24일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 사퇴를 발표했다.
통한당 오재영 전 의원, 민족민주당 김응조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으나 등록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실제 출마하지 못했다.
자민당, 정의당, 통한당은 대선 이후인 5월 3일 법정 지구당 수 및 법정 당원 수 미달로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3. 선거 결과
1971년 4월 27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은 79.8%였다.[6] 박정희 민주공화당 후보가 6,342,828표(53.2%)를 얻어 당선되었고, 김대중 신민당 후보는 5,395,900표(45.3%)를 얻었다.[7] 진복기, 박기출 등 군소 후보들은 미미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당락 |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당선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6,342,828 | 53.2 |
김대중 | 신민당 | 5,395,900 | 45.3 | |
진복기 | 정의당 | 122,914 | 1.0 | |
박기출 | 국민당 | 43,753 | 0.4 | |
이종윤 | 자민당 | 17,823 | 0.1 |
박정희는 김대중에게 승리했지만, 야당과 야권은 부정 및 불법 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비판했다. 김대중은 서울에서 59%의 득표율로 박정희를 앞섰고, 전 도시부 합계에서도 더 많은 표를 얻었다. 호남과 영남 지역 간의 표 쏠림 현상이 심화되었다.
예상 외로 고전한 박정희는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신민당이 헌법 개정 저지선을 확보하는 약진을 보이자, 1972년 10월 유신을 단행하여 유신 체제를 출범시켰다.
3. 1. 지역별 결과
시·도 | 박정희 (민주공화당) | 김대중 (신민당) | ||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울특별시 | 805,772 | 40.0% | 1,198,018 | 59.4% |
부산광역시 | 385,999 | 55.7% | 302,452 | 43.6% |
경기도 | 687,985 | 48.9% | 696,582 | 49.5% |
강원도 | 502,772 | 59.8% | 325,556 | 38.8% |
충청북도 | 312,744 | 57.3% | 222,106 | 40.7% |
충청남도 | 556,632 | 53.5% | 461,978 | 44.4% |
전라북도 | 308,850 | 35.5% | 535,519 | 61.5% |
전라남도 | 479,737 | 34.4% | 874,974 | 62.8% |
경상북도 | 1,333,501 | 75.6% | 411,116 | 23.3% |
경상남도 | 891,119 | 73.4% | 310,595 | 25.6% |
제주특별자치도 | 78,217 | 56.9% | 57,004 | 41.4% |
김대중 후보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서 승리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부산광역시,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승리하였다.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영호남 지역주의가 뚜렷하게 나타났다.[8]
4. 평가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는 여러 가지 평가를 받고 있다.
김대중 후보는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자신의 투표를 포함해 특정 지역 투표가 무효 처리된 사례를 언급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주의가 심화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영남 출신 박정희 후보와 호남 출신 김대중 후보의 대결로 지역 감정이 두드러졌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등 영남 지역, 김대중 후보는 전라남도,전라북도등 호남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11]
7대 대선은 거대 양당 체제가 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제3 후보들의 득표율은 매우 낮았다.[1]
야당의 약진은 박정희 대통령과 여당에 위기감을 주었다. 1, 2위 후보 간 표차가 줄고, 총선에서 신민당이 선전하면서 박정희 대통령은 10월 유신을 통해 영구 집권을 시도하게 된다.[7]
4. 1. 부정선거 의혹
김대중 당시 후보는 훗날 자서전에서 본인의 투표를 포함하여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 투표가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의 확인이 없다는 이유로 통째로 무효 처리된 사례를 회고하는 등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였다.4. 2. 지역주의 심화
김대중 후보는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서 승리·선전하였으며, 경상북도 등 지방에서는 박정희 후보가 우세를 보였다.[11] 영남 출신인 박정희 후보와 호남 출신인 김대중 후보가 격돌하면서 지역주의가 이전 선거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다. 김대중 후보는 박정희 정부 내내 제기돼오던 "호남 소외론"을 적극 이용해 당시 발전이 더디던 호남 지역의 호응을 이끌어 내었으며, 박정희 후보 측에서도 "신라 대통령론"을 주장한 것은 물론 호남에서 영남 상품 불매 운동이 불고 있다는 허위 사실을 퍼트리는 등 영남 표심 결집에 주력했다.[11] 이러한 구도 속에 인구 수에서 호남에 앞서는 영남을 기반으로 한 박정희 후보가 유리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11]6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동서 현상이 나타났는데, 다만 경기도와 충청남도 등에서 여야 간 표 차가 현저히 좁혀져 비교적 동서 현상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당의 월등한 조직력 및 현직 프리미엄 효과 외에도, 박정희 정부의 개발 정책으로 인해 혜택을 본 지역의 유권자들이 여당에 강력한 지지를 보낸 탓으로 보여졌다.[11]
시·도 | 박정희 (민주공화당) | 김대중 (신민당) | ||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울특별시 | 805,772 | 40.0% | 1,198,018 | 59.4% |
부산광역시 | 385,999 | 55.7% | 302,452 | 43.6% |
경기도 | 687,985 | 48.9% | 696,582 | 49.5% |
강원도 | 502,772 | 59.8% | 325,556 | 38.8% |
충청북도 | 312,744 | 57.3% | 222,106 | 40.7% |
충청남도 | 556,632 | 53.5% | 461,978 | 44.4% |
전라북도 | 308,850 | 35.5% | 535,519 | 61.5% |
전라남도 | 479,737 | 34.4% | 874,974 | 62.8% |
경상북도 | 1,333,501 | 75.6% | 411,116 | 23.3% |
경상남도 | 891,119 | 73.4% | 310,595 | 25.6% |
제주특별자치도 | 78,217 | 56.9% | 57,004 | 41.4% |
4. 3. 양당제 확립
당시 박기출·진복기·이종윤 등 제3 후보들의 득표율은 처참한 수준이었다. 특히, 박기출 후보는 유일하게 제도권 정치인 출신 후보였음에도 진복기 후보에게도 밀려 4등을 기록하는 참패를 당했다.[1] 이에 따라 7대 대선은 제3공화국에서 거대 양당 이외의 후보들의 득표율이 가장 낮은 대선이 되었다.[1]4. 4. 야당의 약진과 10월 유신
1위와 2위 간의 표차가 4년 전의 제6대 대통령 선거에 비해 상당히 좁혀져 박정희 후보와 집권 여당에게 위기 의식을 느끼게 하였다. 이같은 야당의 상승세는 얼마 뒤 치러진 제8대 총선에서 신민당이 204석 중 89석을 획득, 개헌저지선인 69석을 넘기며 한층 확고해졌다.[7]1969년 3선 금지 규정을 폐지하기 위해 다소 강압적인 수단으로 헌법을 개헌 (3선 개헌)한 후에 치러진 이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박정희 후보가 3선에 성공하면 즉시 영구 집권 제도를 시행하려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박정희 후보는 "이번이 마지막 출마"라며 "다시는 국민 여러분 앞에 나와서 표를 달라고 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약하였다.[5]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은 1년 뒤 10월 유신을 선포하고 영구 집권 헌법을 제정하게 되는데, 이 헌법은 대통령이 국민들이 아닌 통일주체국민회의라는 기관에 의해 간접 선거되게 돼있어 야권을 중심으로 "두 후보의 말이 모두 맞아 떨어졌다"는 조롱이 나오게 되었다.[7]
5. 기타
박정희는 재선에 성공하자 직선제를 폐지하고 유신 헌법을 선포하여 종신 집권을 선언했다. 그 직후 김대중 납치 사건이 벌어졌다.[1]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서적
[3]
웹사이트
의왕시사
http://dws124.dongwo[...]
2018-04-22
[4]
뉴스
대권 경선사/DJ가 YS에 대역전승/70년 신민당
http://news.joins.co[...]
JoongAng Ilbo
1992-05-10
[5]
기타
[6]
기타
[7]
서적
한국정치의 연구
삼일서방
[8]
기타
[9]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25
[10]
웹인용
선관위 해석 이종윤 후보 등록은 합법
https://newslibrary.[...]
2019-06-02
[11]
웹인용
4.27 표의 분포와 정치색
https://newslibrary.[...]
2019-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